왜 만들었나
티스토리나 구글 블로거같은 서비스는 그 회사에 내 글들이 저장되기 때문에 갑자기 차단을 먹고 글이 다 사라진다거나 하는 경우가 발생할수 있기.. 이미 있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싫어합니다.
워드프레스도 잘되어있지만 처음부터 글만 막 쓰기는 손볼것도 많고 복잡하다고 느꼈기 때문에 스킵했습니다.
그래서 직접 만들었어요. (지금 이 글이 올라간 곳도 MyLogs입니다.)
프라이버시
저는 인터넷 프라이버시를 굉장히 중요시합니다.
그래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선호하고, 데이터의 소유권이 다른 회사나 무언가에게 넘어가는것도 싫어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MyLogs는 워드프레스처럼 모두 오픈소스이고, CreativeCommons 이미지 로드를 제외하면 다른 서버로 연결되는것도 없습니다.
데이터 소유권
앞에서 말한것처럼 구글 블로거는 구글로, 티스토리는 카카오에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전 두 기업 다 싫어합니다.
MyLogs는 데이터의 소유권이 서버 주인 (블로그 주인)에게 있습니다.
언제든지 글들을 다른곳으로 옮길수도 있고, 삭제할수도 있습니다.
사용 방법
GitHub 리포의 리드미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github.com/jaeone22/MyLogs 에서 더 자세히 보실수 있습니다.
처음 설치하는 경우
빠른 서버 설치는 맥과 우분투 (데비안)만 지원합니다.
NodeJS가 지원되는곳이라면 어디든 운영은 가능하지만 약간 귀찮을순 있습니다.
맥의 경우 Homebrew가 설치된 상태여야 합니다.
1. MyLogs 설치
아래 명령어를 터미널에서 실행해주세요.
curl -fsSL https://gist.github.com/jaeone22/0561528c3d478d4bbf0cebe2e66a6d79/raw | bash
2. 설정 사용자 지정
아래 스크립트를 실행하거나 ~/MyLogs/.env
를 텍스트 에디터로 여세요.
nano ~/MyLogs/.env
그리고 ADMIN_PASSWORD
, ML_BLOG_NAME
등의 설정들을 원하는대로 편집해주세요.
저는 비밀번호를 최대한 강하게 하는것을 권장합니다.
어드민 비밀번호를 누군가 알아낸다면 글 수정, 삭제, 업로드가 모두 가능하기 때문이죠.
(삭제한 글은 ~/MyLogs/posts/.trash
에서 다시 찾을수 있습니다.)
다만 비밀번호에 특수문자는 안됩니다.
설정은 되는데 서버가 실행이 안되거나 중간에 오류나고 꺼질수 있어요.
오류인데 아직 안고쳤으니 숫자와 영어만 사용하는걸 추천합니다.
3. 서버 시작
아래 명령어를 터미널에서 실행해주세요.
~/MyLogs && npm start
그러면 서버가 localhost:3000
에서 시작됩니다.
도메인 연결은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저는 클라우드플레어 터널을 이용했습니다.
업데이트 하는 경우
먼저 서버를 종료해 주세요. (컨트롤 + C를 터미널에서 몇번 누르면 종료됩니다.)
업데이트를 해도 글과 댓글은 삭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혹시 모르니 미리 폴더를 통째로 백업하거나 복사해놓는것을 추천드립니다.
1. MyLogs 업데이트
아래 명령어를 터미널에서 실행해주세요.
curl -fsSL https://gist.github.com/jaeone22/0561528c3d478d4bbf0cebe2e66a6d79/raw | bash
3. 서버 시작
아래 명령어를 터미널에서 실행해주세요.
~/MyLogs && npm start
이러면 업데이트가 모두 완료되었습니다.~/MyLogs
폴더가 존재한다면 설치가 아닌 업데이트를 시도하기 때문에 기존 데이터들은 모두 보존됩니다.
블로그 관리
localhost:3000/admin
를 브라우저에서 여세요.
그리고 입력창에 좀 전에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글 업로드
어드민 페이지에서 ✏️ Create New Post
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글 제목, 카테고리, 내용을 입력합니다.
MyLogs는 마크다운과 일부 HTML를 지원합니다.
모두 써서 세상에 공개할 준비가 되면 Save를 누릅니다.
No comments yet.